#1 19세기 초중반 연극의 배경
1750년대부터 1950년대까지는 자본과 부가 넘쳐나는 상업주의 시대이다. 인력이 기계로 대체되고 공장의 발전과 공장 체계가 발전하였다. 기술 혁명은 산업뿐만 아니라 교통과 의사소통 방식까지 변화시켰다. 기관차가 만들어지고, 철도 건설이 진행되었다. 전화기와 백열전구의 발명은 일상생활의 혁명을 일으켰다. 연극은 동시대 사회와 산업의 발전을 즉각 반영했다. 도시화와 과학 기술은 연극 건축과 무대 디자인에 변화를 가져왔고, 도시의 인구 집중은 인기 있는 연극을 더 오래 공연할 수 있게 했다. 19세기 초중반에 빠른 속도로 성장하는 도시의 대중들이 극장을 요구하는 바람에 연극 예술 역시 빠르게 증가했다. 대중들에게 연극은 일시적인 유행이자 열정의 표출이었고, 자신들의 인생의 고됨을 잊는 진정한 대중오락이 되었다. 서커스, 민스트럴 쇼, 보드빌, 버라이어티쇼, 벌레스크 등의 대중 연희 공연이 술집과 음악당에서 상연되었다. 관객의 수가 증가하고 공연의 양식이 다양해지면서 더 많은 극장이 생겨났다. 또한 철도의 발달로 인해 더 이상 상주 극단의 배우가 아닌, 여러 도시와 국가를 넘나드는 국제적으로 유명한 스타 배우들이 생겼다. 관객들은 스타급 배우들 덕분에 연극에 대해 열정적이었다.
#2 19세기의 낭만주의
이 시기에 부각되는 희곡은 낭만주의, 멜로드라마, 잘 짜여진 극(well-made play) 등의 형태였다. 그중 낭만주의는 단순히 연극의 양식이라기보다도 사회, 정치, 예술, 심리학 등의 이론적인 생각들이 표현된 일련의 결과물이다. 사회적으로는 남녀평등주의, 노예제도의 반대 등 평등과 개인주의를 억제하던 당시의 상황을 반대했다. 예술에서의 낭만주의는 신고전주의를 넘어서려고 했다. 예술은 다른 사람이 보지 못하는 숨겨진 진실을 탐구하는 창조적이고 지적인 특별한 활동이라고 여겼다.
그들은 셰익스피어의 삽화적이고 서사적인 구성법을 자주 이용했지만, 납득할 만한 구성과 깊이 있는 인물보다는 분위기나 환경을 만드는 것에 더 집중했다. 낭만주의 극작가들은 장르의 순수성에 대한 믿음이 없었기에 이상적이고 기괴하기까지 한 모든 것을 주제로 생각했으며 초자연적인 요소까지도 활용했다. 가장 평범한 주제 중 하나는 인간이 지닌 영감과 육체적인 한계 사이의 괴리에 대한 것이다. 낭만주의 극작가들은 희곡 외에도 소설, 시, 이론적 수필, 미술 등의 다른 장르 예술에도 흥미를 보여 활동했다. 그들은 예술 형식의 경계를 넓혀 엄격한 예술 범주와 규범에 저항을 했다. 가장 유명한 낭만극으로는 테의 '파우스트', 빅토리 위고의 '에르나니', 클라이스트의 '홈부르크의 공자', 게오르크 뷔히너의 '보이체크'등이 있다.
#3 19세기의 멜로드라마
멜로드라마는 노래극, 음악극을 의미하는데 여기서 음악이란 극의 배경 음악을 뜻하는 것으로 영화의 삽입 음악과 유사한 형태이다. 멜로드라마는 서스펜스나 공포감, 향수 등 강렬한 감정을 일으켰으며 이러한 감정 유발이 가능한 방식으로 창작되었다. 노예 폐지론 등 사회적으로 중요한 이슈를 반영하고, 선과 악의 대결 양상은 항상 선이 승리하는 방식으로 쓰였다. 멜로드라마는 주로 현실도피적인 것이므로 시각적 스펙터클과 특수효과를 강조했다.
멜로드라마는 시대를 초월하여 관객들의 흥미를 끌기 위해 각 막이 절정의 순간에 끝나 서스펜스가 넘치는 플롯을 사용했다. 19세기 멜로드라마의 대부분을 차지했던 양식은 현대의 멜로드라마와 비슷하다. 가정 멜로드라마는 연속극이 되었고, 개척 멜로드라마는 서부극이 되었으며, 범죄 멜로드라마는 미스터리물이나 탐정물로 변모했다.
19세기에 인기 있는 멜로드라마는 상당수가 '잘 짜여진 극(well-made play)'의 구조를 취하고 있었다. 잘 짜여진 연극이란 탁월한 기교를 보여주는 작품을 의미하며, 주도면밀한 인과 관계의 발전을 강조하여 긴밀한 구성을 이루는 위기극의 형식을 보였다. 19세기의 많은 극작가들은 이러한 구성 방식을 이용하여 더욱 사실적인 주제에 초점을 맞췄으며, 일상적인 이슈들을 다루었다.
'연극으로 한 걸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사실주의 연극의 시작 (0) | 2023.02.22 |
---|---|
19세기, 연극 제작 방식과 스타 시스템의 발생 (0) | 2023.02.15 |
18세기 중반, 사실주의와 연출가의 등장 (0) | 2023.02.13 |
18세기 유럽, 변화의 시대의 연극 (0) | 2023.02.12 |
영국 왕정복고기, 영국 연극의 부활 (0) | 2023.02.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