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극으로 한 걸음

18세기 유럽, 변화의 시대의 연극

by ∑파로도스 2023. 2. 12.

 

#1 18세기 예술의 배경

 18세기는 변화의 시대이자 과도기였다. 18세기 이전에는 대개 종교적인 이유 때문에 전쟁이 발발했다. 하지만 이제는 영도와 경제 문제가 주원인이 되었다. 학문과 철학 분야의 새로운 발전 덕분에 18세기는 계몽주의 시대(The age of enlightenment)라고 불린다. 계몽주의의 시작점은 프랑스였으나 그것의 파장은 전 세계로 확산되었다. 교육의 혜택을 입은 중산층들은 지식의 추구를 지지하고 나섰으며, 이로 인해 일반 사전과 백과사전 류의 소비가 급증했다. 이 시기에 나타난 새로운 지식의 특징은 정치뿐만 아니라 실생활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다는 것이었다.

 18세기 초반의 예술 경향은 '바로크(baroque)' 양식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바로크 예술가들은 전체적인 시각적 환각을 불러일으키는 정밀한 묘사와 색조, 장식 등을 강조했다. 18세기 후반에는 새로운 '로코코(rococo)' 양식이 등장했다. 로코코 예술은 바로크 예술보다 웅장함이 덜 하지만 세부 묘사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인다는 측면에서 유사한 특징을 보여주었다. 연극 또한 변신을 시도했다. 18세기 연극 분야에서는 몇 가지 주요한 혁명과 더불어 부수적인 혁명들이 다수 진행되었는데, 그 시도들은 근대 연극을 성하는 바탕이 되었다.

 

#2 18세기의 드라마

 연극 예술가들은 신고전주의와 시시한 연극을 개혁하고자 했다. 대부분의 신작들이 르네상스의 법칙으로부터 멀어져 가고 신고전주의 식의 장르를 거부하는 새로운 형식으로 등장했다. 18세기의 다수의 형식들은 전통 비극과 희극에서 벗어나 있었다. '시민극(drame)'이라는 새로운 형식은 비극에 대한 신고전주의적 형식에서 벗아난 진지한 극을 뜻했다. 주인공은 신이나 왕족이 아닌 중산층 출신의 비극적 남녀였다. 선악의 대립을 통해 감정에 호소하는 중산층들의 권선징악적 도덕성이 주된 주제였는데 대부분 감상적이거나 멜로드라마적인 경향을 띠고 있었다. 새로운 관객이었던 중산층은 자신들의 문제와 관점이 극에 반영되기를 바랐다. 비극의 주인공이 중산층인 남녀가 되면서 극은 중산층들의 성장하고 있는 정치·사회적인 역량을 반영하기 시작했고, 평범한 그들의 문제들을 진지하게 다루면서 도덕적이고 철학적인 결론을 도출하였다.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문학자인 '드니 디드로', 그의 작품은 성공하지 못했지만 그의 영향력은 새로운 사실주의극의 발전으로 이어졌다. 그는 극의 전반적인 부분에서 보다 더 뛰어난 리얼리즘 무대를 구현해 내려고 노력했다. 디드로가 말한 '제4의 벽(fourth wall)'은 눈에 보이지 않는 벽을 통해 극을 관람하는 관객과 무대 위의 배우는 서로를 인식하지 않아야 한다는 개념으로, 이것은 이후 사실주의 연극에 엄청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반응형

 

#3 감상희극

 18세기 영국의 '감상희극(sentimental comedy)'은 현재까지도 이어져오는 장르이다. 감상희극은 왕정복고기 희극과 비슷한 형태로, 사회 규범과 관습을 풍자하는 것이다. 그것은 사회적 허세를 풍자했지만, 중산층의 가치를 지지했다. 18세기 중반 프랑스의 감상희극은 도가 지나칠 정도로 감정을 묘사하는 것이 특징이었으며, 극 중에서 다루어지는 도덕적 인물은 엄청난 불행에 빠지지만 결국은 이후 오랫동안 행복한 삶을 영위하게 된다는 결말을 보여준다. 이렇게 관객들의 눈물을 유발하는 연극 유형을 '최루 희극'이라 불렀다.

 일부 극작가들은 감상희극의 변형을 시도했다. 감상희극을 공격하고 그에 대한 개념으로 관객들의 변덕스러움과 기행을 비웃게 만드는 '폭소 희극'을 만들어 낸다. 이 장르의 작품들은 대부분 젊은 연인의 감정 대립에 초점을 맞춘다. 등장인물들의 심리적 변화에 주목하는 시선은 현대까지도 이어져온다. 이 시기의 극작가들은 극적 규칙들을 거부했다. 그들의 극작법은 정해진 스타일에서 벗어나 있다. 셰익스피어는 문화적 우상으로 추앙받았다. 셰익스피어의 보편적이고 고상한 언어, 일반적인 리듬 등은 영어 문화권을 하나로 묶는 힘이 되었다. 셰익스피어의 삽화식 구성, 장르의 혼합 등은 여전히 작품 속에 구현되었다. 

 

 

댓글